본문 바로가기
알고싶은 것

관절 동작의 바른 정의를 알아보자.

by 그렇게도 좋아? 2020. 11. 23.
728x90

관절 동작을 말하는 기본 용어들은

체내 대다수의 관절에 적용된다.

일부 용어는 특정 관절에 특이적인 의미를 갖으며,

일부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절에 사용되지만

관절이 다르면 다른 의미를 갖는다.

 

관절 동작의 해부학적 정의는

흔히 평면(plane)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명한다.

평면은 2차원적인 표면이며,

기본적인 3가지 평면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다.

평면들은 신체의 중심에서 교차하도록 방향을 정하면

체내에서의 관계(전방과 후방은 신체 부위들의 시상적 관계를 말한다)

또는 움직임(굴곡과 신전은 척추의 시상적 움직임을 말한다)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전두면(frontal plarie),

관상면(coronal plane이라고도 함)은 신체를 앞쪽과 뒤쪽으로 나눈다.

횡단면(transverse plane), 수평면(horizontal plane이라고도 함)

신체를 위쪽과 아래쪽으로 나눈다.

시상면(sugital plane), 정중면 Imedian plane이라고도 함)

신체를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눈다.

 

척추 관절 동작

 

다음 용어들은 척추의 관절들이 움직이고

추골들이 서로 관계하며 관절로 이어질 때의 움직임을 말한다.

이러한 척주의 동작들에서 척추의 실제 형태는 변화하며,

이는 척추 를 공간에서 움직이는 것(예로 고관절에서

관절 움직임이 일어나는 경우인데,

이는 다리 에서의 동작일 것이다)과는 다른 동작이다.

'전방 굴곡'과 같은 흔한 요가 용어는 비해부학적인 말로

척추를 공간에서 움직이는 동작이나 척추에서

굴곡이라는 관절 동작을 가리킬 수 있다.

 

굴곡(flexion) : 시상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신체의 전면들을 상대 쪽으로 가져가는 동작이다.

신전(extension) : 시상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신체의 전면들을 상대에서 반대쪽으로 가져가는 동작이다.

측면 굴곡(lateral flexion) : 전두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식추를 한쪽 또는 다른쪽면으로 구부리는 동작이다.

  회전(rotation) : 횡단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척추의 수직 죽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는 동작이다.

  - 돌기(rolling)에서는 척추의 모든 부위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 비틀기(twisting)에서는 척추의 한 부위가

척추의 또 다른 부위와 다른 방향으로 돌아간다.

  - 축성 신전 (axial extension) : 척추의 수직 축을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시상 만곡을 펴서 척추를 신장시키는 동작이다.

  - 휘돌림(circumduction) : 신체의 부분(예로 다리)이 공간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원뿔형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이는 회전과 동일하지 않다.

 

사지 관절 동작

 

다음 용어들은 창지와 하지에서 일어날 수 있는

관절 동작들을 말하며, 이러한 사지에는 견갑대와 골반이 포함된다.

척추에서처럼 관절을 공간에서 움직이는 동작과

실체로 관절에서 관절 움직임이 일어나는 동작 사이에는

차이가 있으며, 후자가 관절 동작이다.

예를들어 팔 전체를 천장으로 들어 올릴 경우에

팔꿈치는 공간에서 움직이지만 반드시 관절 움직임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모든 사지에서의 동작

  아래와 같은 관절 동작인 경우에는

다양한 관절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을 말하는 데

동일한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어느 뼈가 움직임에 관여하는지는

어느 관절이 관절 움직임을 일으키고 있는지에 달려 있을 것이다.

 

굴곡(flexion) : 사지의 전면들이 상대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며,

이는 척추, 엉덩이 및 어깨의 위치에 따라 어느 평면으로도 일어날 수 있다.

우리가 배아일 때 사직에서 일어나는 나선(Spiral) 현상 때문에,

슬관절, 발목관절 및 발관절의 굴곡은

다리의 후면들(우리가 생각하기에)을 상대쪽으로 움직인다.

신전(extension) : 사지의 전면들이 상대에서 반대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며,

다시금 이는 척추, 엉덩이 및 어깨의 위치에 따라

어느 평면으로도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발생 학적 나선 현상 때문에,

슬관절, 발목관절 및 발관절의 신전은 다리의 후면들 우리가

  생각하기에)을 상대에서 반대쪽으로 움직인다.

  회전(rotation) : 사지의 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동작으로,

엉덩이어깨 및 하퇴부에서는 이를 추가로 대회전과

외회전(internal and extermal rotation)이라고 말한다.

손, 발 및 전완에서의 회전에는 특별한 이름이 있다.

  외전(abduction) : 사지를 몸통 또는 신체의 정중선에서

반대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으로, , 발 및 견갑골에서는

이 용어가 보다 특정한 동작을 말한다.

내전(adduction) : 사지를 몸통 또는 신체의 정중선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으로 손, 및 견갑골에서는

이 용어가 보다 특정한 동작을 말한다.

  휘돌림(circumduction) : 사지를 공간에서 사지의 축을 중심으로

원뿔형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이는 회전과 동일하지 않다.

 

 

 

특정 사지에서의 동작

  사지의 일부 부위는 위에서 열거한 일반 용어로는

설명되지 않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 다. 이들 관절 동작에는

특정 신체 부위에 사용되는 용어가 있다. (예로 발과 전완에서만

일어나는 '회내 ' '회외 또는 손목에서만 일어나는

 '요측 편위' '척측 편위' 등), 일부 신체 부위에서는 일반 관절 동작,

나머지 사지에서와 다른 움직임을 가리킨다.

예를들어 손에서 외전은 신체의 정중선에서 반대쪽이 아니라

중지에서 반대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말한다.

 

회전(rotation) : 손의 장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서

손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들리면 외번(eversion),

손의 안쪽 가장자리가 들리면 내번(inversion)이라고 한다.

외전(abduction) : 손가락들을 중지에서 반대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내전(adduction) : 손가락들을 중지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요측 편위(radial deviation) : 손가락들을 손의 요측(엄지순가락 쪽)으로

움직이는 동시이다.

 

척측 편위(ulnar deviation) : 손가락들을 손의 척측(새끼손가락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대립(opposition) :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상대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손목

  배측굴곡(dorsiflexion) : 손등 (배측면)과 전완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게 움직이는 동작이다.

(발생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는 손목의 신전이다.)

 

장측굴곡(palmar flexion) : 손바닥(장측면)과 전완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게 움직이는 동작이다.

(발생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는 손목의 굴곡이다.)

 

요측 편위 또는 외전(radial deviation or abduction) : 손을

전완의 요측(엄지손가락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척측 편위 또는 내전(ulnar deviation or adduction) : 손을

전완의 척측 새끼손가락 폭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전완

회전(rotation) : 전환을 회전시키는 동작에서 요골이 척골을 넘어가면

회내(pronationt 요골과 척골이 평행하면 회외(supination)라고 한다.

때로 회내는 손바닥을 아래로 회전시키는 동작(palm down),

그리고 회외는 '손바닥을 위로 회전시키는 동작(palm up)' 이라고 말하지만

손바닥의 위치는 이들 동작을 정확히 말해주지 않는데,

어깨관절과 견갑골에서 가용한 움직임 때문이다.

 

쇄골

  상승 (elevation) : 전두면에서 세골원위 말단부를 위로 움직이는 동이다.

하강(depression) : 전두면에서 쇄골의 원위 말단부를

아래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상방회전(upward rotation) : 쇄골의 종축을 중심으로 이 뼈를 회전시켜

상면을 앞으로 돌리는 동작이다.

 

하방회전(downward rotation) : 세골의 종축을 중심으로

이 뼈를 회전시켜 상면을 앞으로 돌리는 동작이다.

 

전인(protraction) : 쇄골의 원위 말단부를 앞으로 당기는 동작이며,

대개 전갑골의 전인을 동반한다.

 

후인(retraction) : 쇄골의 원위 말단부를 뒤로 당기는 동작이며,

대개 견갑말의 후인을 동반한다.

 

어깨(상완와관절, Glenohumeral Joint)

  굴곡(flexion) : 팔을 공간에서 시상면 방향으로 앞으로 올리는 동작이다.

  신전(extension) : 팔을 공간에서 시상면 방향으로

뒤로 가져가는 동작이다.

외전(abduction) : 팔을 몸통 곁으로부터 움직여

측면으로 그리고 몸의 반대쪽으로 벌리는 동작이다.

  내전(adduction) : 팔을 외전된 자세에서

몸의 측면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수평 외전(horizontal abduction) : 팔을 몸의 앞쪽으로 굴곡된 자세에서

측면으로 그리고 몸의 반대쪽으로 벌리는 동작이다.

  수평 내전(horizontal adduction) : 팔을 몸의 측면으로

외전된 자세에서 몸의 앞쪽으로 굴곡된 자세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전인(protraction) : 상완골의 골두가 시상면 방향으로

앞으로 밀리게 하는 동작이다.

후인(retraction) : 상완골의 골두가 시상면 방향으로

뒤로 밀리게 하는 동작이다.

 

견갑골

  상승 (elevation) : 건감골이 전두면에서 위로 미끄러지는 동작이다.

하강(depression) : 견갑골이 진부면에서 아래로 미끄러지는 동작이다.

  상방 또는 외측 회전(upward or lateral rotation) : 견갑골이

전두면에서 관절와(glenoid fossa)가 위로 향하고, 하각(interior angle)

외측 및 측면으로 움직이도록 회전하는 동작이다.

  하방 또는 내측 회전 (downward or medial rotation) : 견갑골이

전두면에서 관절와가 아래로 향하고

하각이 내측 및 척추 폭으로 움직이도록 회전하는 동작이다.

외전 또는 전인(abduction or protraction) : 견갑골을 횡단면에서

식추 반대쪽으로 움 이는 동작이며, 이 동작으로

결국 견갑골들을 몸의 앞쪽으로 두르게 된다.

내전 또는 후인(adduction or retraction) : 견갑골을

횡단면에서 척추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며,

이 동작으로 결국 건갑골들을 등에서 상대 쪽으로 당기게 된다.

 

 발

  회전(rotation) : 발의 장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서

발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들리면 외번,

 발의 안쪽 가장자리가 들리면 내번이라고 한다.

외전(abduction) : 발뒤꿈치를 움직이지 않으면서

앞발을 발의 외측 가장자리(새끼발가락)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며,

발가락들을 둘째 발가락에서 반대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내전(adduction) : 발뒤꿈치를 움직이지 않으면서

앞발을 발의 내측 가장자리(엄지발가락)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며,

발가락들을 둘째 발가락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회내와 회외(pronation and supination) : 발에서 회내는

때로 외번과 동일한 등작으로 여겨지며,

때로는 외번과 외전의 결합이다. 그리고 발에서 회외는 때로

내번과 서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으며, 때로는 내번과 내전의 결합이다.

 

발목

  족저굴곡(plantar flexion) : 발바닥(족저면)과 하퇴부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게 움직이는 동작으로 발을 세우는 것이다.

(발생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는 발목의 굴곡이다.)

족배굴곡 (dorsiflexion) : 발등(족배면)과 하퇴부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게 움직이는 동작이다.

(발생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는 발목의 신전이다.)

 

골반

  골반 숙이기(nutation) : 천골의 꼭대기가 앞으로 기울고,

즉 끄덕이고 천골의 바닥(미골 근처)이 뒤로 기울도록

천골을 골반 뼈들과 분리해 움직이는 동작이다.

이는 천골과 관골 사이에 있는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의 움직임이

지골반 전체의 움직임이 아니다. 후자는 고관절 또는

요추의 관절 동작으로 인한 골반의 전방 및 후방 경사이다.

골반 들기(counternutation) : 천골의 꼭대기가 뒤로 기울고

천골의 바닥(미골 근처)이 앞으로 기울도록 천골을 움직이는 동작이다.

이는 천골과 관골 사이에 있는 천장관절의 움직임이지골,

골반 전체의 움직임이 아니다. 후자는 고관절 또는 요추의

관절 동작으로 인한 골반의 전방 및 후방 경사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