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싶은 것

부정적인 생각을 없애는 방법

by 그렇게도 좋아? 2020. 10. 21.
728x90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이 머릿속에 가득 차 있으신가요?

"나는 왜 이 정도 밖에 안될까?"

"내가 하는 일은 왜 매번 실패할까?"

"SNS를 보면 다른 사람들은 다들 신나는데 나만 불행한 것 같아."

"지금은 나한테 잘해 주지만 언젠가는 날 배신할 거야."

 수많은 종류의 부정적인 생각과 사고방식이 우리의 행복을 방해합니다. 이 글은 부정적인 생각의 원인과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정적인 생각은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인간이 위험을 감지하기 위해 진화된 생각 프로세스입니다. 인류가 항상 긍정적이고 낙천적이었다면, 위기를 감지하지 못해 각종 위험에 노출되었을 것이고, 결국 우리 인류는 지금까지 살아남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고, 쓸데없는 부정적인 생각들이 우리를 괴롭힙니다.

쓸데없는 부정적인 사고방식은 3가지 유형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 유형은 "혹시 나한테.."유형입니다. 근거 없는 불안과 위험 과민증을 보입니다.

실제 위험해질 가능성을 생각하지 않으며, 혹시 나한테 안 좋은 일이 생기는 건 아닐지라고 끊임없이 생각합니다.

저가 항공사는 추락할 것 같아 불안하기 때문에 대한항공 항공기만 타야겠다는 사람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실제 대한항공 항공기가 덜 위험하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비싼 돈을 쓰면 안전할 것이라고 착각을 합니다. 세균에 감영 될 것 같아서 외부 화장실은 못 쓰겠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의 손톱 밑 세균이 훨씬 더 많을 것입니다.

 

부정적인 사고의 두 번째 유형은 "답 없는 질문하기"유형입니다. 이미 일어난 일에 계속 질문합니다.

"왜 나는 키가 작을까?"

"왜 내게 이런 일이 일어났지?"

"그때 다른 남자와 결혼했으면 더 나아졌을까?"

고민한다고 해결책이 나오지 않는 답 없는 고민을 계속합니다. 더 나아가 "나는 왜 이렇게 부정적일까?"까지 나오면 거의 부정적인 생각하기의 끝판왕입니다.

 

부정적인 사고의 세 번째 유형은 "불신"유형입니다.

과거의 상처로 인해 사람을 믿지 못합니다. 남자 친구가 결국 바람을 피우면서 자신을 떠날 것이라고 생각하고, 친구들도 결국 나를 떠날 것이라고 단정 짓습니다. 회사에서도 부하직원은 나를 배신할 것이라고 생각하거나, 조직이 결국 나를 버릴 것이라고 부정적인 생각을 합니다.

 

이런 쓸데없는 부정적인 생각은 왜 우리를 괴롭힐까요? 이는 본능적인 이유보다는 사회적/문화적인 이유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실패를 허용하지 않는 분위기는 우리가 삶을 부정적으로 보게 만듭니다.

또한 사회적으로 기준치를 만들어 주변 사람들과 끊임없이 비교를 합니다. 40대에 결혼을 하지 않으면 어딘가 결함이 있는 것으로 본다던가, 좋은 대학에 입학하지 않으면 멍청한 것으로 치부한다던가, 여성들은 돈 많은 남자만을 사랑한다는

사회적 강요가 부정적인 생각을 하도록 유도합니다.

 

불만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나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의 저자 "페넬로프 러시아노프"부정적인 감정을 지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몇가지 방법을 가르쳐 줍니다.

 

첫째, 부정적인 생각은 습관에 불과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유전적, 생리학적으로 부정적인 생각을 한다면 사실상 이를 변화시키기 어렵지만 대부분의 부정적인 감정 습관은 무의식적으로 느낀 문화적 관습이 원인입니다. 습관은 누구나 고칠 수 있는 것입니다.

 

 

둘째, 부정적인 감정을 기록하고 자기 자신을 관찰합니다.

모든 심리적 치료는 인정하는데서 출발합니다. 알코올 중독자도 본인이 술에 중독되었음을 인정해야 치료가 가능합니다. 언제 부정적인 생각을 하는지 그냥 기록을 합니다. 기록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자신이 언제 부정적인 생각을 하며, 왜 부정적인 생각을 했는지 객관적으로 파악이 가능합니다.

 

 

셋째, 자기 자신을 위로해 줍니다. 스스로를 책망할 필요가 없습니다.

면접에 떨어진 것은 당신의 탓이 아닙니다. 100대 1의 경쟁률에서는 99명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실수한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실수하는 것입니다. 실수했다는 데서 자기 자신을 미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본인이 실수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다음에 실수하지 않을 방법을 생각합니다.

 

 

넷째, 당신을 지배하는 자로부터 벗어나야 합니다.

당신의 가치를 깍는 상사, 배우자로부터 벗어나야 합니다. 열등감을 가진 인간들은 보통 사람을 모욕하면서 자기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으려는 경향이 큽니다. 특히 사회적인 성공을 하지 않은 남자가 집안에서 아내와 자식들에게 군림하고자 하며, 아내와 자식들은 덫에 빠져 아빠의 눈치를 보고 남편에게 버림받을까 두려워하며 자신도 모르게 희생양이 됩니다.

 

 

가장 중요한 다섯번째, "말이 씨가 된다"라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도 자주 사용하는 방법인데, 정말 간단하지만 효과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습관은 오직 자기 자신만이 변화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부정적인 생각을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른 이야기 다 무시하고 '말이 씨가 된다.' 이 말 한마디는 꼭 기억에 남기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