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유근막 경선과 동양 의학
Anatomy Trains의 근육근막 경선은
서구의 해부학적 관례에서
독자적으로 발전 전개시킨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연속성의 해부학적 기초를 강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전통적 동양의하에서 사용된 침술과
그리고 유사한 경선(meridians)과 어떠한 비교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두 개 사이의 밀접한 관계는 피할 수 없는데,
특히 최근 세포 외의 세포간질(extracellular matrix)에 대한
침술의 구체적인 효과에 관한 연구에 비추어 보면 더욱 그렇다.
이번 판은 침술 경선과 타이 요가 마사지의 센(Sen) 근막선
그리고 Anatomy Trains와의 비교를 포함하고 있다.
우리 모두가 똑같은 인체를 가지고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두 개의 다른 루트로 올라간다고 하더라도
정점 가까이에서 서로 중복되는 점이 발견되는 것이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라고 본다.
동양 의학에 대한 우리의 무지한 면을 고치기 위해서
fe Dr. Peter Dorsher.' Dr. C, Pierce Salguero,
Dr. Helene Langevin, 그리고 Dr. Phillip Beach DO" 에게
이러한 경선들에 관하여 정확한 묘사를 요청하였으며,
그것들의 더 상세한 부분들에 대하여
아주 집요하게 요구하였다.
경선들이 어떻게 그려지는지에 대하여는
많은 동양 전통의학 사이에서도 변화가 있다.
그래서 우리는 더 많이 여행한 길을 택했던 것이고
그리고 그러한 변화들의 덤불 아래서 길을 잃지도 않았다.
Dr. Dorsher가 보여주는 도해에 의하면, 표면전방(SFL),
표면후방선(SBL) 그리고 외측선의 근육근막 연속체는
위장 경선(stomach meridian)과 방광 경선 (bladder meridian)
그리고 담낭경선(gallbladder meridian)과
각각 의미심장하게 중복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네 개의 상지선은 표면 전방선에서
표면후방선까지 심장막(pericardium), 폐, 소장,
그리고 삼초경(Triple Heater) 경선과
각각 밀접하게 일치하고 있다.
심부전방선(DFL)은 단지 때때로 몸의 표면 가까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간경선과 일치하는데,
그것도 마찬가지로 전방 내장기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나, 신 장경선의 일부 부위는
다리의 내부 근막선을 가로지르고 있다.
우리는 그것이 소위 말하는 나선형 근막선들로부터
나온 것이라면(나선선, 기능선), 그 선들은 신체의 전후방,
중앙을 교차하여 반대편에 있는 구조들과 인체공학적으로
만나게 되어 있는 반면에, 침술에는 그러한 중앙을
교차하는 근막선이 없다는 문제점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도 위장경선이 나선선의 앞쪽 부위와 가장 가깝게 비슷하다.
방광경선과 합쳐졌을 때, 대부분의 나선선과 중복이 되나,
이러한 일치는 일부러 어느정도 끼워 맞춰진 것이다.
우리의 주의를 전통적으로 타이 마사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센(Sen) 근막선으로 돌려 살펴보면,
몸의 후방을 교차하는 경선은 없으며
많은 곤막선들은 전방의 배꼽이나 하라(hara)에서
만나게 되고, 또 가로지르는 것 같다.
특히 Kalatharee 근막선은 몸의 앞부분에서 서로 교차 하는데,
그 선은 상지의 앞부분(표면전방상지선)에서 시작하여
몸의 중앙을 가로질러 반대편 대퇴골(전방기능선)로
연결되어 있으며, 장내전근(adductor longus)과
연결되어 심부전방선을 경유하여 다리의 내부 근막선을 따라
그 아래 발바닥 아치(arch)까지 내려간다.
최근의 연구조사는 일반적으로 침술경선과
근막 네트워크 사이의 형태와 기능의 양면 모두를
서로 연결하려는 데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침술 연구가이면서 신경 과학자인 Dr, Helene Langevin과
그의 여러 학자들은
결합조직(특히 친수성인 프로테오글라이켄(proteoglycans)과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 그리고 섬유아세포(fibroblast)도
함께 침이 그 자리에서 회전을 할 때에는
침끝 주변에서 휘감김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것은 탐지 가능한 물리적인 영향을 조직에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영향은 침이 들어간 자리에서
4cm 떨어진 곳에서도 인지가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Langevin은 동양 침술경선은
근육 간혹은 근막 간의 근막면을 따라
형성되어있을 것이라고 주 장했다.
취합된 이러한 발견들은 침으로 인한 자극의 가능한
영향을 세포 밖의 세포간질(extracellular matrix)의 근막 면 안에
물리인 변환과 연결시켜 준다(물론, 비록 다른 영향들도
침술과 마찬가지로 일어나고 있다).
Langevin은 전통적인 침 자리와 세포 간의 결합조직에서
생기는 구획의 근막 면이 상지에서
80%가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행동(action)을 제안하고 있는데,
침술과 연계되어 있는 것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섬유아세포와 백혈구, 그리고 세포간질 복합체와 같은
결합조직 세포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물리적 변환(mechanotransduction) 전달 채널과 함께
세포와 조직학적인 레벨(cellualar and hislogical level)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연구조사는 침술, 동작 재활치료와 교육,
그리고 도수치료는 '통일장 이론(unified field theory)'에서
다 같이 함께 접근할 것이라는 흥미있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결국 Anatomy Trains 체계와 침술도해 둘 모두다
신체 발달, 동작, 예방에 대한 유기체적 반응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 것이라는 것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정골요법 의사인 Phillip Beach는
'수축영역(contractile field)'의 개념을 발전시켰으며,
외측, 후방, 전방, 나선, 부속 부위, 요골,
그리고 키랄(chiralic) 영역의 가설을 정립하였다.
바깥 부분은 침술 경선과 일치하나,
근육과 장기와 관련하여서는 더 복잡하다.
'알고싶은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암이 속쓰리고 더부룩하기만 하니? (0) | 2021.01.03 |
---|---|
산후 우울증을 대하는 태도 (0) | 2021.01.03 |
움직이는 동안에 힘이 하는 일은 뭘까? (0) | 2020.12.12 |
아나토미 트레인스가 의미하지 않는 것이 뭘까? (0) | 2020.12.11 |
표면후방선과 척추의 만곡을 이야기해 본다. (0) | 2020.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