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암호화폐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투자해서 수익을 보기 좋은 투자상품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주변에 보면, 백수였는데 실제로 말도 못 할 부자가 된 사람들을 제법 볼 수 있습니다. 벼락부자가 암호화폐 때문에 생겨난 것입니다. 그러나 정작 암호화폐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투자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이 문제입니다. 알면 이해되는 암호화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암호화폐의 정확한 개념 정리
비트코인은 우리가 말하는 Cryptocurrency 암호화폐입니다. 이 암호화폐를 '암호'와 화폐'로 나누어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화폐'는 거래, 교환의 수단입니다. 노동에 대한 대가를 치를 때 화폐를 지급하거나 가치있다고 동의한 무언가에 대해 지불하는 데 화폐를 이용합니다. 예전에는 그 대가를 금으로도 지불했었습니다. 금도 화폐 중의 하나였으니까요.
그러나 금은 교환의 수단으로 항상 적합하지는 않아서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화폐로 대체된 것입니다. 우리나라 돈으로는 원(₩), 미국 돈으로는 달러($), 유럽은 유로(£)로 말입니다. 즉, 여기서 말하는 화폐는 Fiat Currency(명목화폐)를 말합니다. 명목화폐는 정부가 화폐임을 보증하는 화폐를 뜻합니다.
정부가 인정한 화폐이기 때문에 정부가 안정적이고, 국가가 강할수록, 화폐도 강력해집니다. 현재 달러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가장 강력한 이유도 미국이라는 나라의 강력한 국력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반대로 정부가 잘못된 판단을 하거나 국력이 약해진다면 그 나라의 화폐 가치는 하락합니다. 현재 베네수엘라를 생각하면 잘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화폐의 가치는 정부가 국가를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서 화폐의 가치가 높아지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명목화폐(Fiat Currency)입니다.
그렇다면, '암호'는 무엇일까요? 여기서 crypto(암호)는 cryptography(암호학)에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암호학이란, 데이터를 암호화시키는 인코딩과 디코딩에 대한 것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누군가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다른 사람은 그 메시지 뜻을 알 수 없게 암호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encrypted 암호화(이상하게, 못생기게 암호화) 시킨 것이라서 다른 사람이 읽으면 못 알아먹고, 내가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알아먹을 수 있게 해석(decrypted)해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걸 이용해서 authentification, 본인 인증을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브라우저에서 구글 크롬, 사파리 등에서 https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웹사이트가 페이스북이라면 https facebook을 볼 텐데, 브라우저에게 이게 페이스북이라고 인증을 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이건 encryption을 통해서 진행해야 합니다. 프로세스를 통해서 페이스북은 브라우저에게 페이스북임을 인증하는 암호 과정을 통해서 페이스북에 와있음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이 암호학은 수학으로 되어있어서 수학을 통해 메시지를 암호화시키고, 해석을 합니다. 정보를 비밀리에 저장하고, 암호화하여 전달하는 방법이니다.
암호화폐는 수학이 기반이된 화폐
만약에 Fiat Currency(명목화폐)가 정부가 인증한 화폐이기 때문에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기반이 된 화폐라라면, Cryptocurrency는 사람들이 수학에 기반이 된 화폐라고 정의 내릴 수 있습니다. 수학을 신뢰하는 것이 암호화폐이기 때문에 어찌 보면 암호화폐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데 최근 베네수엘라처럼 국가가 망하는 일이 생긴다면 화폐보다 암호화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더 많은 자산을 보유할 수 있는 것입니다. 나라가 망하면, 화폐의 가치는 추락하니까요. 나라가 망할 일이 거의 희박하기는 합니다만....
수학을 기반으로한 과학적인 화폐가 바로 암호 화폐,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비트코인입니다.
'미래 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법으로 현혹하여 돈을 빌려준다고 사기치는 녀석들의 수법 정리 (0) | 2021.12.12 |
---|---|
성공적인 주식 투자를 위해 알아야 할 법칙 (0) | 2021.12.05 |
초보 재테크 시작은 연금, 부동산을 거쳐 주식으로 자산 증식해야 한다! (0) | 2021.09.02 |
제페토 QA 담당자 구하는데, 네이버 직원 가능할까? (0) | 2021.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