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3

표면후방선과 척추의 만곡을 이야기해 본다. 표면후방선(SBL)은 척추와 다리의 1차 및 2차 만곡을 구성하는 곡선을 가로지르는 기능적 연결을 제공한다. 척행성(plantigrade) 인간의 자세에서 인체는 자체적으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일련의 교차적 반대상쇄 (counterbalancing) 곡선으로 배열한다. 전통적인 해부학적인 사고로는 척추의 흉추와 천골미골(sacrococcygeal) 곡선을 신체의 전면에 오목한 1차 만곡으로 인식하는, 즉 태아 발달기의 굴곡 위치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곡선이다. 2차 만곡은 임신 후기 및 생후 1살 동안 아기의 1곡선 내에 분절에서 형성한다. 목 근육의 활성(머리를 들기 위해) 및 나중에 요추 근육의 활성은(앉고 기어가기 위해 볼록한 형태의 경추나 요추의 만곡을 거꾸로 만들기 위해) 추간판의 모양을 변.. 2020. 12. 11.
전신적인 체계를 공부해야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다음 질문에 관하여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을 시작해 보자. 만약 우리가 마술처럼 인체의 생리적 시스템을 온전하게 몸으로부터 추출해 낼 수 있다면, 과연 어떤 생리적 체계가 신체 내에 존재했던 모습과 비교하여 내외부 모두 정확하게 동일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까? 달리 말하면 어떤 체계가 진정으로 전신적(holistic)인 체계일까 하는 것이다. 우리 신체 중 하나의 체계만 보이고, 다른 모든 부위는 보이지 않는다고 상상해 보자. 이렇게 되면 우리는 그 체계가 공간에서 서 있는 모습과 생명력을 가지고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질문과 같이 어떤 체계가 전신적인 모습을 정확하고 완전하게 보여줄 수 있을까? 촉진과 해부학적인 용어에서 우리의 질문에 대한 명백한 세 가지의 .. 2020. 12. 10.
세포외기질의 이론적인 이야기 결합조직세포들은 폭넓은 종류의 구조적 활성 물질들을 세포간 공간으로 유입한다. 이러한 활성 물질로는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망상섬유(reticulin fiber), 일반적으로는 '기저물질(ground substance)'이나 최근에 글리코스아미노글리켄(glycosaminoglycan GAGS) 그리고 프로테오글리켄(proteoglycan)이라고 알려진 아교질의 원섬유간 단백질(interfibrillar pue)이 있다. 은 이러한 단백질의 복합체 세포외기질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이라는 용어는 합조직 안에 있는 총 세포외 물질의 합계에 적용된다. 본질적으로 이것은 불용해성의 단백질 원섬유와 물을 끄 는 단백질 분자(.. 2020. 12. 10.
인체의 구성 요소를 알고 운동을 시작하자. 인체의 구성요소(HOW TO BUILD A BODY) 사람이 서거나 걷기 위해서는 다양한 구성 재료들이 요구된다.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을 통해 철물점이나 건축 자재상에서 구입할 수 있는 재료들로 인체를 조립해 만든다고 상상해 보자. 우리는 이미 컴퓨터로 제작 을 시작하였고, 근육 작동을 위한 자동제어 모터(servo- motors)를 구입하였다고 하여도 실제로 움직임이 가능한 인체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재료무엇일까? 달리 말해서, 어떤 종류의 재료가 결합조직세포를 대신하기에 적합할 것인가? 아마도 골격을 대신할 재료로는 목재, PVC 파이프, 세라믹을, 연골과 심장. 밸브로는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류를 생각할 것이다. 또한 빈 공간을 채울 재료로 끈, 로프, 모든 종류의 철사.. 2020. 12. 9.
관절 동작의 바른 정의를 알아보자. 관절 동작을 말하는 기본 용어들은 체내 대다수의 관절에 적용된다. 일부 용어는 특정 관절에 특이적인 의미를 갖으며, 일부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절에 사용되지만 관절이 다르면 다른 의미를 갖는다. 관절 동작의 해부학적 정의는 흔히 평면(plane)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명한다. 평면은 2차원적인 표면이며, 기본적인 3가지 평면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다. 평면들은 신체의 중심에서 교차하도록 방향을 정하면 체내에서의 관계(전방과 후방은 신체 부위들의 시상적 관계를 말한다) 또는 움직임(굴곡과 신전은 척추의 시상적 움직임을 말한다)을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전두면(frontal plarie), 관상면(coronal plane이라고도 함)은 신체를 앞쪽과 뒤쪽으로 나눈다. 횡단면(transverse pla.. 2020. 11. 23.
관절의 운동 범위는 어떻게 되는가? 신체는 결코 하나의 관절만 움직이거나 하나의 관절 동작만 하지 못한다. 어느 특정한 움직임에서도 신체는 다리를 구부리거나 팔을 들어 올리기 위해 15가지 또는 심지어 500가지 서로 다른 관점 동작을 섬세하게 조화시켜 움직일 것이다. 우리가 하나의 특정 관절에 완전히 집중하려 해도 움직임을 시작하자마자 그 움직임은 움직이는 뼈들의 다른쪽 끝에 있는 관절들로 가고 그 다음에 계속 이어지는 뼈와 관절들을 거듭해 가면서 줄곧 척추로 가고 또 줄곧 주변부로 나간다. 당신이 수동적으로 누워 있고 어떤 다른 사람이 당신을 움직이면, 그러한 움직임은 여전히 어떻게든 당신의 조직들을 통해 가게 된다. 움직임은 이런식으로 신체를 통해 가기 때문에, 오로지 단일 관절의 운동범위에 조정을 두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노련한.. 2020. 11. 22.
미래학자들이 말하는 코로나 이후의 미래 이야기 어느덧 코로나 사태를 맞이한지 1년이 다 되어갑니다. 우리의 삶은 너무나 많이 달라졌고,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지만 거리에는 마스크를 안 쓴 사람을 볼 수 없을 정도로 모두가 이 사태에 적을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일까요? "전염병을 막으려면 사람을 만나지 말라."는 메세지 즉, "비대면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코로나19 이후의 모든 변화들은 "비대면"에서 파생됩니다. 그동안의 세상은 사람들이 모이고 집중되면서 발전해왔습니다. 모든 인적 자원, 물적 자원이 집중될 수록 생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전염병으로 인해 기존의 시스템은 마비됩니다. 사람이 집중될 수록 바이러스는 더욱 퍼지니까요. 그래서 코로나19의 대책들은 사람들 많은 곳에 가지 않기와 같이 집중된 도시 생활.. 2020. 10. 27.
최대 2천만원의 긴급 생계자금을 1% 저금리로 고용노동부에서 빌리자! "요즘 다들 힘드시죠?" 코로나로 인한 전 세계 경제위기가 아직은 풀리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우리의 가정은 어려움을 겪고있죠. 지금 4차 추경으로 인해 혜택을 받거나 기다리는 분들도 있지만... 애매하게 대상에 해당되지 않아 여기저기 도움도 못 받으시는 분들이 많아 너무 안타깝습니다. 재난지원금들은 많게는 100만원 내외, 적게는 몇 십만원의 수준이라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는 그다지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조금은 더 큰 도움이 되실만한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물론 조건이라는 게 있기는 합니다.... 지금 소개할 내용은 일회성이 아니라 장기간 적은 금리로 생계자금을 빌려주는 좋은 제도를 소개하겠습니다. 요즘 많은 분들이 자격증이나 취업 지원제도에 대해 관심이 많.. 2020. 10. 23.
반응형